웰빙이코노미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시사&이슈
      • 경제
      • 라이프
      • 사회
라이프

[김명남 번역가] 18년 꾸준함의 비결, 프리랜서 번역가의 작업 & 체력 관리 노하우

매일 아침, 눈을 뜨면 안방의 침대에서 일어나 옆방의 책상으로 출근하는 김명남 번역가님. 마감에 쫓겨 밤샘 작업을 하는 일 없이, 매일 9시간에서 12시간을 꾸준히 책상 앞에서 일하시는 모습은 많은 프리랜서분들께 깊은 울림을 줍니다. 18년간 흔들림 없이 쌓아온 그 '항상성'의 원천은 무엇일까요? 바로 '40분 일하고 20분 쉬는' 단순하지만 비범한 자기 규율에 있습니다. 프리랜서 작업의 핵심, '40분 일 20분 휴식'의 실행력'애걔' 싶을 정도로 간단해 보이는 이 원칙은, 실행 이력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18년 동안 이 원칙을 지켜오신 김명남 번역가님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40분간 휴대폰, 메신저, 이메일함을 보지 않고 완벽하게 몰입하고, 40분마다 엉덩이를 들어 20분간..

2025. 6. 24. 11:00
시사&이슈

이재명 재판, 왜 갑자기 멈췄나? 대한민국 법치주의의 위기인가

최근 정치 뉴스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모두 주목하셨을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이재명 대통령의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심 재판이 갑작스럽게 무기한 연기된 것인데요. 단순한 재판 연기 그 이상으로, 이번 결정이 대한민국 법치주의에 어떤 의미를 남기는지, 왜 논란이 되고 있는지 깊이 있게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1. 석연치 않은 재판 연기, 헌법 제84조의 그림자지난 며칠 사이, 서울고등법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재판을 '재판부 기일 변경 및 추후 지정'이라는 명목으로 사실상 무기한 연기했습니다. 이 결정의 근거로 헌법 제84조를 들었는데요. 문제는 이 헌법 조항이 대통령의 재임 중 형사상 소추를 받지 않는다는 내용인데, 이것이 과연 과거의 행위까지 면책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크다는 점입니다. 많은 법조계 관..

2025. 6. 10. 16:39
시사&이슈

이재명 대통령 재판 연기, 왜 논란인가? 헌법과 법치주의의 충돌

사법부 결정, 뜨거운 논란의 불씨서울고등법원이 이재명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파기환송심)에 대해 재판을 무기한 연기하면서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법부의 이번 결정이 헌법에 따른 정당한 판단인지, 아니면 법치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인지 다양한 시각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핵심 쟁점을 하나씩 짚어봅니다. 1. 헌법 제84조 논란 – '불소추 특권'의 범위는?서울고법은 재판 연기의 근거로 헌법 제84조를 들었습니다.“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소추를 받지 않는다.”하지만 여기서 ‘소추’의 의미를 두고 해석이 갈립니다.비판 측 주장: ‘소추’는 ‘기소’만 의미하며, 이미 시작된 재판(공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즉, 수사나 기소는 막을 수 있지만, 진행 중..

2025. 6. 10. 11:34
라이프

지친 당신을 위한 솔루션, 삶의 활력을 되찾는 10가지 비밀

혹시 요즘 "왜 이렇게 피곤하지?"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시나요? 어깨는 천근만근이고, 머릿속은 복잡하며, 무언가를 시작할 의욕조차 나지 않는다면, 당신의 삶의 자세가 체력이라는 단단한 기반 위에 서 있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느끼는 피로감은 단순히 잠이 부족해서만 오는 것이 아닙니다. 삶의 여러 가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당신의 활력을 갉아먹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당신의 지친 일상에 다시금 생기를 불어넣을, 삶의 활력을 되찾는 10가지 방법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1. 잠 - 생산성과 몰입의 근간잠은 단순히 쉬는 시간을 넘어, 당신의 삶 전체의 생산성과 몰입을 책임지는 근간입니다. 적절한 수면 패턴을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합니다. 수면의 질은 일상생활은 물론, 장기적인..

2025. 5. 31. 12:10
시사&이슈

민주주의의 붕괴를 막아라! 중도는 왜 김문수를 선택해야 하나

민주주의는 한 국가의 정치 체제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입니다. 그 중심에는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세 권력은 서로를 견제하며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되었으며, 어느 한쪽이 과도한 힘을 갖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이는 민주주의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독주로 변질되는 것을 막는 핵심 원칙입니다. 현재 한국 정치에서는 이러한 균형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도적 유권자분들께서 왜 김문수 후보를 지지해야 하는지, 삼권분립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민주주의와 삼권분립의 중요성민주주의는 단순히 다수결로 모든 것을 결정하는 체제가 아닙니다. 다수결은 민주주의의 한 요소일 뿐, 그 본질은 권력의 분산과 균형에 ..

2025. 5. 29. 09:16
라이프

투표는 시민의 책임인가, 심리적 감옥인가? – 루소와 크리슈나무르티의 철학 대결

투표를 하지 않는 자는 시민이기를 포기한다. 장자크 루소의 이 말은 정치적 참여를 시민의 핵심 책임으로 보는 그의 철학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반면, 지두 크리슈나무르티는 “진정한 변화는 내면의 각성에서 온다”며 투표나 정치적 참여를 거부하고, 모든 체제를 “심리적 감옥”이라 비판했습니다. 두 사상가의 주장은 언뜻 상충되는 듯 보이지만, 각각의 철학은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을 제시합니다. 루소는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사회계약을 유지하고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보았지만, 크리슈나무르티는 개인의 내면적 자유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과연 루소의 현실적 접근이 크리슈나무르티의 이상주의보다 더 설득력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두 사상가의 철학을 비교하며, 특히 ..

2025. 5. 22. 17:48
  • «
  • 1
  • 2
  • 3
  • 4
  • ···
  • 27
  • »
반응형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시사&이슈
    • 경제
    • 라이프
    • 사회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웰빙이코노미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